반응형 [200]공정안전자료/210)유해위험물질자료13 에너지열량 환산기준 [열량(cal,J) → 중량(kg)]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PSM 대상물질의 R값 계산시 산안법 시행령 별표13에는 중량(kg) 기준으로 나와있는데,실제 현장에서는 부피(L, m3), 열량(kcal, J) 등의 단위로 나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부피는 비중을 적용해서 쉽게 중량으로 바꿀수 있지만, 열량의 경우는 어떻게 중량으로 바꿔주어야 할까요? 오늘은 에너지열량 환산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너지열량 환산기준1) 관련근거 : 에너지법 시행규칙 별표2) 관련내용* 비고.1. 총발열량 :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발열량을 말함 (= 고위발열량)2. 순발열량 :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잠열을 제외한 발열량을 말함 (= 저위발열량)3. 석유환산톤(toe: ton of oil equival.. 2024. 8. 3. 인화점, 발화점, 연소점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인화점, 발화점 및 연소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인화점 가연성증기를 발생할 수 있는 최저온도 가연성물질의 표면에 화염을 접촉시켰을 경우, 인화(불이 붙음)가 일어나는 최저온도 (인화점이 낮을수록 위험) ■ 발화점 착화원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물질이 발화되는 최저 온도 (발화점이 낮을수록 위험) 인화점과 발화점 Test 하는 영상을 보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있습니다. 유튜브 좋은 영상이 있어 공유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ors93J3BWD4&t=11s ■ 연소점 가연성물질을 공기 중에 가열하였을 때, 점화원의 접촉에 따라 발회되어 계속적으로 연소가 지속되는 최저온도 (5초 이상) ■ 온도가 높은 순서 발화점 > 연소점 .. 2024. 2. 25. 기체의 무게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등을 작성하다 보면 설비별 유해위험물질의 취급량을 계산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액체의 경우, 해당물질의 비중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 취급량(kg) = 설비의 용량(m3) × 1,000(L/m3) × 1(kg/L) × 비중 ] 기체의 경우에는 어떻게 계산하면 될까요? 오늘은 기체의 무게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기체의 무게 계산식 기체의 무게는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 V = n R T 여기서, P : 압력 (atm) V : 부피 (L) n : 몰수 (mol) R : 기체상수 (0.082atm·L/mol·K) T : 절대온도 (K) n = W ÷ M 여기서, .. 2023. 9. 5. 인화성가스 폭발하한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인화성가스의 폭발하한값은 기본적으로 MSDS 9번항(물리화학적 특성)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ISO/IEC 80079-20-1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산업안전기사 STUDY시 완전연소식을 통해 계산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오늘은 '완전연소 Jones식을 활용한 폭발하한값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완전연소 Jones 식 ◎ LFL = 0.55 × Cst ◎ UFL = 3.5 × Cst 상기 완전연소 Jones 식을 통해 폭발하한값(LFL)과 폭발상한값(UFL) 계산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Cst = [ 가연성가스 몰수 ÷ ( 가연성가스 몰수 + 공기 몰수 ) ] × 100 입니다. * 주의사항 : Cst 계산시 '공기 몰수(산소몰수 ÷ 0.21)'를.. 2023. 5. 3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