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00]공정위험성평가25

독성물질 AEGL, PAC, IDHL 값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시 독성물질의 끝점은 ERPG-2를 우선 적용하고 있으며, ERPG-2값의 확인이 불가한 경우, 적용 우선순위에 따라 AEGL-2, PAC-2 IDHL 수치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AEGL, PAC, IDHL 값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독성물질 끝점 적용기준 KOSHA Guide P-107, 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3호에 따라 독성물질 끝점 적용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음 ① 미국 산업위생학회(AIHA)의 ERPG-2 ②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1시간 AEGL-2 ③ 미국 에너지부(DOE)의 PAC-2 ④ 미국 직업안전보건청(NOISH)의 IDHL 수치 10% (IDHL × 0.1) ⑤ IDHL 수치가 없는 물질은 아래의 순서대로 IDH.. 2023. 11. 26.
PSM 공정「사업장 위험성평가」제외 근거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공정의 경우, 산안법 제36조에 따른 사업장위험성평가 적용을 제외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근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제36조 (위험성평가의 실시) ① 사업주는 건설물, 기계·기구·설비, 원재료, 가스, 증기, 분진, 근로자의 작업행동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한 유해·위험 요인을 찾아내어 부상 및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 범위인지를 평가하여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 법과 이 법에 따른 명령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하며, 근로자에 대한 위험 또는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인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 사업주는 제1항에 따른 평가 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바에 따라 해당 작업장의 근로자를 참여.. 2023. 8. 18.
열의 이동방법 (대류, 전도, 복사)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시 화재의 끝점은 복사열 5kW/m2라고 확인하였습니다. 여기서 복사열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열의 이동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오늘은 열의 이동방법인 대류, 전도, 복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대 류 (Convection) 1) 정 의 열을 받은 액체 또는 기체상태의 입자가 직접 이동하면서 열이 이동하는 현상 (열의 이동방법 중 유체의 흐름을 활용한 것) 2) 예 시 ① 물을 끓이면 상대적으로 뜨거운 물은 위쪽으로, 차가운 물은 아래쪽으로 이동 ② 난로를 켜면 공기의 이동으로 난방됨 (방의 한쪽에 난로를 켜두면 방 전체 따뜻하게 난방됨) 2. 전 도 (Conduction) 1) 정 의 - 물질이 직접 이동하지 않고.. 2023. 7. 10.
인화성물질 끝점 기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시 인화성물질의 끝점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인화성물질 끝점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끝점 정의 KOSHA Guide P-107-2020에서 주어진 끝점농도, 과압 또는 복사열 등의 수치에 도달하는 지점을 말함 2. 인화성물질 끝점 기준 2.1 화재인 경우 1) 끝 점 40초 동안 5kW/m2의 복사열에 노출되는 지점 2) 복사열의 영향 판단표 ① 통증을 느끼기 시작하는 시간 (인용 : API 521) ② 허용 설계 기준 ③ 복사열의 영향 (인용 : World Bank) 2) 폭발인 경우 1) 끝 점 0.07kgf/cm2의 과압이 걸리는 지점 (1PSI = 7kPa = 0.07kgf/cm2) 2) 폭발 과압의 영향 판단표 3) 누출인 경우 1) 끝.. 2023.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