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시 끝점, 환경조건, 누출공, 누출시간 등의 기준은 KOSHA Guide P-107-2020 (최악 및 대안의 누출 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을 참조하여 분석합니다.
여기서, 누출공의 경우,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기준만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는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요?
■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분석시 누출공 적용 기준
1. KOSHA Guide P-107-2020
최신 KOSHA Guide인 P-107-2020의 경우,
[표1]에서 아래와 같이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에 대한 누출공 기준만 제시하고 있습니다.
2. KOSHA Guide P-107-2016
2020년 개정 전 KOSHA Guide인 P-107-2016의 경우,
[표1]에서 아래와 같이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에 대한 누출공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 국민신문고 질의회시 결과
최신 KOSHA Guide에는 최악의 누출공을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그렇다고 개정 전 KOSHA Guide를 적용하자니 삭제된 내용이라 적용 가능한지가 미지수입니다.
또한, 실제 배관 Size를 적용하자니 결과(분석된 영향범위)가 현실적이지 않아 관리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에, 관련 내용으로 국민신문고 질의를 하였으며, 아래와 같이 답변을 받았습니다.
=-=-=-=-=-=-=-=-=-=-=-=-=-=-=-=-=-=-=-=-=-=-=-=-=-=-=-=-=-= =-=-=-=-=-=-=-=-=-=-=-=-=-=-=-=-=-=
답변) 최악의 시나리오에 적용하는 누출공 사이즈에 대한 문의라고 판단됩니다.
KOSHA Guide P-107-2016 및 2020에서 제공하는 최악의 시나리오 누출공의 경우 누출공 적용의 예로 KOSHA Guide P-97 기준에 따라 산정된 누출공 사이즈입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용기 내의 유체가 전량 누출되는 경우를 고려하는 것으로 KOSHA Guide P-97의 5. 누출원의 면적 부분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
* 참고. 상기 답변에 KOSHA Guide P-97은 오타로 확인되며, P-97이 아닌 P-92를 의미합니다.
KOSHA Guide P-92-2023 내용 중 「5. 누출원의 면적」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5. 누출원의 면적
누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누출원의 면적은 다음과 같이 산정하거나 가정한다.
(1) 이송 또는 압축설비를 제외한 화학설비의 균열 또는 파손에 의한 경우, 그 화학설비에서 취급․저장하는 위험물질이 10분 동안에 모두 누출될 수 있는 구멍(Hole)의 면적
(2) 배관의 균열 및 파열에 의한 경우
(가) 배관의 호칭지름이 50mm 미만인 경우 : 배관의 단면적
(나) 배관의 호칭지름이 50mm 이상 100mm 이하인 경우 : 50mm 배관의 단면적
(다) 배관의 호칭지름이 100mm를 초과하는 경우 : 배관 단면적의 20%
(3) 이송 또는 압축설비의 균열 또는 파손에 의한 경우, 흡인측 배관의 크기에 따라 전항에서 규정하는 면적
(4) 오조작에 의하여 밸브가 열린 경우, 그 밸브의 구멍(Full bore)의 면적
(5) 비상 배출인 경우, 비상 배출관의 내경에 의한 면적
☞ 개정 전 KOSHA Guide P-107-2016 내용과 차이가 없다고 보셔도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분석시 누출공 적용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00]공정위험성평가 > 330)정량적위험성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성물질 AEGL, PAC, IDHL 값 확인방법 (9) | 2023.11.26 |
---|---|
열의 이동방법 (대류, 전도, 복사) (0) | 2023.07.10 |
인화성물질 끝점 기준 (0) | 2023.07.06 |
e-CA 프로그램 설치방법 (0) | 2023.06.07 |
ALOHA 매뉴얼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 NG - 확산) (0) | 2023.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