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폐공간 정의, 종류 및 건강장해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밀폐공간의 정의, 종류와 밀폐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밀폐공간 정의 안전보건규칙 제618조에 의거, '밀폐공간'이란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서 별표18에서 정한 장소를 말함 (밀폐공간은 반드시 산소결핍 상태이거나, 유해가스로 차있는 상태만을 의미하지 않음 근로자가 상시 거주하지 않는 공간이면서 환기가 불충분하여 유해가스, 불활성기체가 존재하거나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공간도 밀폐공간으로 분류하고 관리해야 함) * 산소결핍 :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상태를 말함 ■ 밀폐공간 종류 안전보건규칙 별표18에 의거, 아래 18개 장소를 말함 1. 다음의 지층에 접하거나 통하는 우물, 수직갱, 터널,..
2023. 11. 28.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자격 기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사업장에서 화기 또는 밀폐공간출입 작업시 인화성가스,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가스농도 측정의 경우, 가스농도측정기를 조작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을까요? 오늘은 안전보건규칙 제619조의2에서 정하는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자격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작업별 측정해야 할 가스의 종류 ① 화기작업 : 인화성가스 ② 밀폐공간출입작업 - 세균의 번식에 의한 유기물부패의 경우 : 산소, 탄산가스,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메탄 - 탄산가스를 사용하는 냉동, 소화설비 사용지역 : 산소, 탄산가스 - 불활성가스를 사용하는 공정 : 산소 - 인화성물질을 취급 설비내부 : 산소, 해당 인화성물질 - 유해화학물질 취급설비 내부 : 산소, 해당 유해화..
2023.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