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00]안전운전계획/430)안전작업허가

밀폐공간 정의, 종류 및 건강장해

by 수박공 2023. 11. 28.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밀폐공간의 정의, 종류와 밀폐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밀폐공간 정의

안전보건규칙 제618조에 의거,

'밀폐공간'이란 산소결핍,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로서 별표18에서 정한 장소를 말함

(밀폐공간은 반드시 산소결핍 상태이거나, 유해가스로 차있는 상태만을 의미하지 않음

 근로자가 상시 거주하지 않는 공간이면서 환기가 불충분하여 유해가스, 불활성기체가 존재하거나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공간도 밀폐공간으로 분류하고 관리해야 함)

* 산소결핍  :  산소농도가 18% 미만인 상태를 말함

안전보건규칙 제618조 (밀폐공간 정의 등).pdf
0.08MB

반응형

 

■ 밀폐공간 종류

안전보건규칙 별표18에 의거, 아래 18개 장소를 말함

안전보건규칙 별표18 (밀폐공간).pdf
0.15MB

 

1. 다음의 지층에 접하거나 통하는 우물, 수직갱, 터널, 잠함, 피트 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의 내부
     가. 상층에 물이 통과하지 않는 지층이 있는 역암층 중 함수 또는 용수가 없거나 적은 부분
     나. 제1철 염류 또는 제1망간 염류를 함유하는 지층
     다. 메탄, 에탄 또는 부탄을 함유하는 지층
     라. 탄산수를 용출하고 있거나 용출할 우려가 있는 지층
2. 장기간 사용하지 않은 우물 등의 내부
3. 케이블, 가스관 또는 지하에 부설되어 있는 매설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하에 부설한 암거, 맨홀 또는 피트의 내부
4. 빗물, 하천의 유수 또는 용수가 있거나 있었던 통, 암거, 맨홀 또는 피트의 내부
5. 바닷물이 있거나 있었던 열교환기, 관, 암거, 맨홀, 둑 또는 피트의 내부
6. 장기간 밀폐된 강재의 보일러, 탱크, 반응탑이나 그 밖에 그 내벽이 산화하기 쉬운 시설(그 내벽이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것 또는 그 내벽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가 되어 있는 것은 제외한다)의 내부
7. 석탄, 아탄, 황화광, 강재, 원목, 건성유, 어유 또는 그 밖의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는 물질이 들어 있는 탱크 또는 호퍼(Hopper) 등의 저장시설이나 선창의 내부
8. 천장, 바닥 또는 벽이 건성유를 함유하는 페인트로 도장되어 그 페인트가 건조되기 전에 밀폐된 지하실, 창고 또는 탱크 등 통풍이 불충분한 시설의 내부
9. 곡물 또는 사료의 저장용 창고 또는 피트의 내부, 과일의 숙성용 창고 또는 피트의 내부, 종자의 발아용 창고 또는 피트의 내부, 버섯류의 재배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일로(Silo), 그 밖에 곡물 또는 사료종자를 적재한 선창의 내부
10. 간장, 주류, 효모 그 밖에 발효하는 물품이 들어 있거나 들어있었던 탱크, 창고 또는 양조주의 내부
11. 분뇨, 오염된 흙, 썩은 물, 폐수, 오수, 그 밖에 부패하거나 분해되기 쉬운 물질이 들어있는 정화조, 침전조, 집수조, 탱크, 암거, 맨홀, 관 또는 피트의 내부
12.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하는 냉장고, 냉동고, 냉동화물자동차 또는 냉동컨테이너의 내부
13. 헬륨, 아르곤, 질소 ,프레온, 탄산가스 또는 그 밖의 불활성기체가 들어 있거나 있었던 보일러, 탱크 또는 반응탑 등 시설의 내부
14. 산소 농도가 18% 미만 23.5% 이상, 탄산가스 농도가 1.5% 이상, 일산화탄소 농도가 30ppm 이상 또는 황화수소 농도가 10ppm 이상인 장소의 내부
15. 갈탄, 목탄, 연탄난로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양생장소 및 가설숙소 내부
16. 화학물질이 들어있던 반응기 및 탱크의 내부
17. 유해가스가 들어있던 배관이나 집진기의 내부
18. 근로자가 상주하지 않는 공간으로서 출입이 제한되어 있는 장소의 내부

 

■ 밀폐공간 건강장해

1) 산소결핍증

대기 중 정상적인 산소농도는 약 21%이며, 산소농도가 18% 미만으로 떨어지면 산소결핍증이 발생할 수 있음

 

① 산소농도가 16% 이하로 저하된 공기를 마시게 되면 인체의 각 조직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어 맥박과 호흡이 빨라지고 구토,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10% 이하가 되면 의식상실, 경련, 맥박수가 감소하게 되어 질식 사망하게 됨

 

호흡정지 시간이 4분이면 살아날 가능성이 절반드로 줄어들고, 6분 이상이면 생존 가능성이 없음

(소생한계 내에서 구조된 경우, 후유증으로 언어장해, 운동장해, 시야협착, 환각, 건망증, 성격이상 등이 남을 수 있음)

 

③ 산소결핍 장소에 들어가도 정신만 차리면 된다?

대개의 경우 산소결핍 상황을 모른 채 밀폐공간에 들어갈 경우, 순간적으로 폐 내 산소분압이 떨어지면서 뇌의 활동이 정지되며 대부분 의식을 잃게 됨 이러한 증상은 수초 이내에 나타나기 때문에 정신을 차릴 수 없음

 

2) 일산화탄소(CO) 중독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주로 고체연료가 불완전연소 되면서 발생하여 중독을 일의킴

(혈액 내 헤모글로빈은 공기 중 산소와 결합하여 온몸에 산소를 운반하게 되는데, 산소와 일산화탄소가 함께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산소와 결합하지 않고 일산화탄소와 결합하여 결국 체내 산소부족 상황을 일으킴)

 

* 일산화탄소 농도별 인체영향

 

3) 황화수소(H2S) 중독

황화수소는 계략 썩는 냄새가 나는 가스로 화학산업에서 사용하기도 하지만,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도 발생하여 중독을 일으킴

(낮은 농도에서는 가벼운 자극을 주는 정도이지만, 고농도에서는 폐조직을 손상시키거나 호흡을 마비시켜 사망에 이르게 함)

 

* 황화수소 농도별 인체영향

참고. 황화수소가 고농도인 경우, 후각을 마비시켜 냄새를 못 느끼게 만들어 위험장소에 그냥 들어가는 경우가 있으므로, 냄새만으로 판단해서는 안됨

 

4) 그 밖의 유해가스에 의한 건강장해

산업현장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가스는 그 자체의 독성으로 근로자 건강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밀폐된 공간에 많은 양이 존재할 경우 그만큼 공기량이 줄어 산소부족상황을 일으킬 수 있음


 

밀폐공간의 정의, 종류와 밀폐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장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