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400]안전운전계획/440)도급업체안전관리3

【KOSHA Guide P-95-2016】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도급업체 안전관리 관련 KOSHA Guid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OSHA Guide P-95-2016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 1. 목 적 공정안전보고서 내용 중 도급업체의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및 이를 준수하기 위한 기술 지침을 정함 2. 적용범위 PSM 사업장의 사업주가 도급업체의 안전관리계획을 작성하고, 이를 실행하는데 적용 3. 용어의 정의 3.1 사업주 유해위험설비를 보유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한 사업장으로서 사업 전부 또는 일부를 도급계약에 의하여 다른 사업주에게 도급을 준 업체의 사업주를 말한다. 3.2 도급업체 설비의 점검, 정비 및 공사 등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이하 '도급업무'라 한다)를 도급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업체를 말.. 2023. 6. 18.
도급업체 안전관리 (세부평가기준 및 착안사항)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이행상태점검 및 평가시 도급업체 안전관리는 어떤 내용을 확인할까요? 그리고 평가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도급업체 안전관리 관련 세부평가기준 및 착안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평가항목 도급업체 안전관리 평가항목은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별표4에서 정하고 있음 총 10개 항목으로 평가를 실시함 평가항목 1 사업주는 도급업체 사업주에게 도급업체 근로자들이 작업하는 공정에서의 누출·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성 및 비상조치계획 등을 제공하는가? 2 사업주는 도급업체 선정시 안전보건 분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적정한 도급업체를 선정하는지? 3 도급업체 사업주는 도급업체 근로자들의 질병·부상 등 재해발생 기록을 관리하는가? 4 도급업체 사업주는 도급업체 근로자.. 2023. 1. 5.
440. 도급업체 안전관리 (고용노동부고시 작성/심사기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대상공정에는 공정의 일부를 도급하는 상주 도급업체와 정비보수시 출입하는 공사 도급업체가 있습니다. 도급업체는 원청보다 상대적으로 안전에 대한 의식수준이 낮아, 많은 지원과 관리가 필요한데요. 도급업체 안전관리 지침은 어떤 기준으로 작성해야 하며, PSM 점검 및 평가시 심사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도급업체 안전관리에 대한 고용노동부 작성/심사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작성기준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작성기준은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제34조에서 정하고 있음 제34조(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 규칙 제50조 제1항 제3호 라목의 도급업체 안전관리계획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1. 목 적 2. 적용범위 3. 적용대상 4. 사업주의 의무 : 다음.. 2023. 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