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SM 개론21

PSM 인허가 절차 (심사 Flow)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PSM 인허가 절차(공정안전보고서 제출, 심사, 확인 관련 업무 Flow)에 대해 얘기하고자 합니다. 산안법 및 고용노동부고시에 관련 내용이 상세히 나와있긴 하지만, 전체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자료가 있으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아래와 같이 만들어보았습니다. ■ PSM 인허가 절차 (심사 Flow) 전체적인 심사 Flow는 아래와 같습니다.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제출 → 서류심사 → 설치과정단계 확인심사 → 시운전단계 확인심사 → 상업운전) * 참 고 1) D-day 3가지(착공일(D1-day), 설치과정단계 확인심사(D2-day), 시운전단계 확인심사(D3-day))를 기준으로 작성 2) 신규설치시 기준으로 작성 (확인심사 2회) ■ PSM 인허가 절차 세부.. 2023. 5. 29.
PSM 운영 (사업장 기준인가? 공장 기준인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운영 중인 사업장을 보면 전체 사업장이 한개의 등급으로 관리하는 곳도 있고, 사업장 내에서 공장을 나누어 관리되는 곳도 있습니다. 제가 컨설팅을 하며 경험해보니, 동일한 사업자인데도 지역마다 다르게 운영되는 곳도 있습니다. (예. P사의 경우, 포항은 13개 공장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광양은 1개 사업장으로 관리하고 있음) 정답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PSM 운영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련 법규 고용노동부고시에서 「PSM 평가 대상」에 대한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음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제54조 (평가의 종류 및 대상 등) ② 이행상태평가는 사업장 단위로 평가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사업장의 규모가 크고 단위공장별로 공정안전관리체제.. 2023. 5. 20.
PSM 대상범위 (설비 기준인가? 공정 기준인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업종대상은 사업장 전체가 PSM에 해당하나, 규정량 대상 사업장의 경우 일부만 PSM에 해당하는데요. 규정량 대상 사업장의 PSM 대상범위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고 계신가요? 유해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설비 기준이라고 하시는 분도 있고, 공정 기준이라고 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정답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PSM 대상범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PSM 대상범위 PSM 대상범위는 산안법 시행령 제43조 제1항에서 정하고 있음 산안법 시행령 제43조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대상) ① 법 제44조 제1항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설비"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을 하는 사업장의 경우에는 그 보유설비를 말하고, 그 외의 사업을 하는 사업장의 경.. 2023. 5. 19.
중대산업사고 정의 (2023.04.28 개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지난 2023년 4월 28일 고용노동부 예규 제2023-204호(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운영규정) 개정으로 중대산업사고에 대한 정의가 일부 변경되었습니다. 오늘은 개정된 중대산업사고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중대산업사고 정의 고용노동부 예규 '제9조(중대산업사고에 대한 판단 등)' 및 ' 중대산업사고 등 판단기준'에 의거, 아래에 해당하는 사고를 중대산업사고라 함 * 중대산업사고 : 대상설비, 대상물질, 사고유형, 피해정도 등이 모두 판단기준에 해당된 사고로 PSM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 1) 업종 대상 사업장 ① 대상설비 : 해당 업종과 관련된 주제품을 생산하는 설비 및 그 설비의 운영과 관련된 설비 ② 대상물질 : 안전보건규칙 별표 1에 따른 위험물질 (170여종) .. 2023.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