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시 화재의 끝점은 복사열 5kW/m2라고 확인하였습니다.
여기서 복사열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열의 이동방법 3가지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오늘은 열의 이동방법인 대류, 전도, 복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대 류 (Convection)
1) 정 의
열을 받은 액체 또는 기체상태의 입자가 직접 이동하면서 열이 이동하는 현상
(열의 이동방법 중 유체의 흐름을 활용한 것)
2) 예 시
① 물을 끓이면 상대적으로 뜨거운 물은 위쪽으로, 차가운 물은 아래쪽으로 이동
② 난로를 켜면 공기의 이동으로 난방됨
(방의 한쪽에 난로를 켜두면 방 전체 따뜻하게 난방됨)
2. 전 도 (Conduction)
1) 정 의
- 물질이 직접 이동하지 않고, 물체에서 이웃한 분자들의 연속적인 충돌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
- 정지상태에 있는 고체가 위치의 변화없이 온도차에 의해 열이 전달되는 현상
(고체나 유체의 정지하고 있는 매질 내에 온도구배가 존재할 경우, 그 매질을 통해 발생되는 열전달)
2) 예 시
① 요리시 냄비에 넣어 둔 젓가락, 국자 등이 뜨거워짐
② 프라이팬의 아래쪽을 가열하면, 프라이팬 전체가 뜨거워짐
③ 병원 진료시 청진기가 몸에 닿으면 차갑게 느껴짐
3. 복 사 (Radiation)
1) 정 의
열이 물질의 도움 없이 직접 전달되는 현상
(매질 없이 열이 직접 전달되는 현상)
2) 예 시
① 태양에서 방출되는 열이 지구로 전달됨
② 겨울철에도 햇빛이 직접 비치는 곳은 따뜻함을 느낌
③ 공연장에서 강한 조명을 받는 부분이 따뜻해짐
열의 이동방법인 대류, 전도, 복사를 정리하며, 아래 그림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열의 이동방법인 대류, 전도, 복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00]공정위험성평가 > 330)정량적위험성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분석시 누출공 적용 기준 (0) | 2024.08.10 |
---|---|
독성물질 AEGL, PAC, IDHL 값 확인방법 (9) | 2023.11.26 |
인화성물질 끝점 기준 (0) | 2023.07.06 |
e-CA 프로그램 설치방법 (0) | 2023.06.07 |
ALOHA 매뉴얼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 NG - 확산) (0) | 2023.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