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시 독성물질의 끝점은 ERPG-2를 적용한다고 하였는데요.
ERPG-2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독성물질별 ERPG-2 값은 어디서 확인 가능한지? 궁금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독성물질 끝점인 ERPG-2의 정의 및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RPG 정의
* ERPG :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
☞ ERPG는 미국 산업위생학회(AIHA)에서 발표하는 기준이며, 관심의 우선순위, 취급·저장 평가, 누출시 확산지역의 파악 및 지역사회의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되는 지침을 말함
☞ 공기 중의 독성물질에 의해 1시간 동안 노출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신체적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최대 농도
2. ERPG 구분
ERPG는 ERPG-1, ERPG-2, ERPG-3로 구분됨
구 분 | 내 용 |
ERPG-1 | 거의 모든사람이 1시간 동안 노출되어도 오염물질의 냄새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건강상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공기 중 최대농도 |
ERPG-2 | 거의 모든사람이 1시간 동안 노출되어도 보호조치 불능의 증상을 유발하거나, 회복 불가능 or 심각한 건강상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 공기 중 최대농도 |
ERPG-3 | 거의 모든사람이 1시간 동안 노출되어도 생명의 위험을 느끼지 않는 공기 중 최대농도 |
3. 독성물질 끝점 적용기준
KOSHA Guide P-107, 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3호에 따라 독성물질 끝점 적용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음
① 미국 산업위생학회(AIHA)의 ERPG-2
②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1시간 AEGL-2
③ 미국 에너지부(DOE)의 PAC-2
④ 미국 직업안전보건청(NOISH)의 IDHL 수치 10% (IDHL × 0.1)
⑤ IDHL 수치가 없는 물질은 아래의 순서대로 IDHL 수치를 대신하여 사용 가능
⑴ 0.1×LC50(30분) 또는 0.2×LC50(4시간)
⑵ 1×LCLo
⑶ 0.01×LD50(경구)
⑷ 0.1×LDLo(경구)
4. ERPG 값 확인방법
1) 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3호
화학물질안전원지침 제2021-3호(사고시나리오 선정 및 위험물 분석에 관한 기술지침) '<붙임1> 유해화학물질별 끝점농도 기준'을 통해 유해화학물질 74종에 대한 ERPG-2 값 확인 가능
https://nics.me.go.kr/sub.do?menuId=36
2) 2016 ERPG/WEEL Handbook
2016 ERPG/WEEL Handbook을 통해 독성물질 147종에 대한 ERPG-2 값 확인 가능
https://enasis.univ-lyon1.fr/clarolinepdfplayerbundle/pdf/377899
3) 정량적위험성평가 Software
ALOHA, KORA, e-CA, PHAST 등 정량적위험성평가 Software에는 기본적으로 독성물질에 대한 ERPG-2 값이 입력되어 있으므로, 해당물질의 CAS No.만 입력하면 ERPG-2 값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
예로 염소의 경우, ERPG-2값은 3ppm 입니다.
① ALOHA를 통한 끝점 확인 : AEGL-2 2ppm
(ALOHA에서 염소는 ERPG-2가 아니라 AEGL로 검색되네요)
② KORA를 통한 끝점 확인 : ERPG-2 3ppm
③ e-CA를 통한 끝점 확인 : ERPG-2 3ppm
정량적위험성평가시 사용되는 독성물질의 끝점 ERPG-2에 대한 정의 및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300]공정위험성평가 > 330)정량적위험성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OHA 매뉴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 NG - 화재 #1) (0) | 2023.03.29 |
---|---|
정량적위험성평가 기상정보 확인 방법 (0) | 2023.03.27 |
ALOHA 초기 Setting 방법 (0) | 2023.03.26 |
ALOHA Software 설치방법 (0) | 2022.12.12 |
330. 정량적위험성평가 (0) | 2022.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