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량적위험성평가2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 (KOSHA Guide P-107)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는 ALOHA, e-CA, KORA, PHAST 등 Software를 활용하여 평가한다고 하였습니다. 실제로 분석을 해보시면 입력해야 하는 변수들이 여러가지 있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 오늘은 해당 변수값에 기준이 되는 「KOSHA Guide P-107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에 대해 STUDY 해보겠습니다. 1. 개 요 안전보건규칙 별표1 위험물 중 인화성액체, 인화성가스, 급성독성물질 및 기타 위험물의 누출, 화재, 폭발에 의한 사고 예방 및 대응을 위해 최악 및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해야 함 → 인화성, 독성 각각 최악 1건, 대안 1건 이상을 선정 필요 2. 용어의 정의 1)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누출, 화재, 폭발을 일으킨 지.. 2022. 12. 9.
330. 정량적위험성평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는 위험성평가는 정성적위험성평가와 정량적위험성평가가 나뉘며, 정량적위험성평가는 정성적위험성평가 결과 위험도가 높은구간에 실시한다고 하였습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는 어떤 기준으로 작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작성 기준 정량적위험성평가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8조에 따라 작성해야 함 제28조(사고빈도 및 피해최소화 대책 등) ① 사업주는 단위공장별로 인화성가스·액체에 따른 화재·폭발 및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대하여 각각 1건의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와 각각 1건 이상의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정량적위험성평가(피해예측)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별지 제19호의2 서식의 시나리오 및 피해예측 결과에 작성하고 사업장 배치도 등에 표시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시나리오.. 2022.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