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공정안전자료/240)건물설비배치도23 국소배기장치 후드 제어풍속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지난 시간에 국소배기장치 설계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3.03.23 - [[200]공정안전자료/240)건물설비배치도] - 국소배기장치 설계 방법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 중 국소배기장치 후드(Hood) 제어풍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리대상유해물질 관리대상유해물질 관련 국소배기장치 후드 제어풍속은 아래와 같음 (안전보건규칙 제429조, 별표13) 물질의 상태 후드 형식 제어풍속(m/sec) 가스상 포위식 포위형 0.4 외부식 측방흡인형 0.5 외부식 하방흡인형 0.5 외부식 상방흡인형 1.0 입자상 포위식 포위형 0.7 외부식 측방흡인형 1.0 외부식 하방흡인형 1.0 외부식 상방흡인형 1.2 ■ 분진작업장소 분진작업장소에 설치하는 국소배기장치 후드 제어풍속은 .. 2023. 3. 24. 국소배기장치 설계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및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업무시 국소배기장치 설계에 대한 내용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사업장의 안전관리자나 환경담당자가 해당 내용을 이해하기도 쉽지 않고, 설계사에서 제출한 국소배기장치 자료를 확인하면, 도데체 무슨 말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도 참 많은데요. 그래서 하나씩 단계별로 국소배기장치 설계 방법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먼저 국소배기장치를 설계하는 전반적인 Flow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풍량 계산 배풍량(m3/sec)은 후드(Hood)의 형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표적인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 후드 형식 배풍량 Q(m3/min) 포위식 Q = A × Vo 외부식 (자유공간에 설치한 플랜지가 붙은 원형 또는 장방형 후드) Q = .. 2023. 3. 23. 방유제 설치 (안전보건규칙 제272조)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사업장에서 액상의 위험물질을 취급할 경우, 방유제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산안법에서는 방유제 설치 대상을 어떻게 정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방유제 설치 관련 기준(안전보건규칙 제272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련 법규 안전보건규칙 제272조 (방유제 설치) 사업주는 별표1 제4호부터 제7호까지의 위험물(인화성액체, 인화성가스, 부식성물질, 급성독성물질)을 액체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탱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위험물질이 누출되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유제를 설치하여야 한다. 방유제 설치 대상은 안전보건규칙 별표1 제4~7호에 해당하는 위험물을 액체상태로 저장할 경우입니다. 안전보건규칙 별표1 제4~7호 위험물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참고 (안전보건규칙 별표1).. 2023. 3. 9.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9호)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공정안전보고서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계획 장성방법에서 가스누출감지경보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장소, 설치위치, 성능 및 구조 등 세부적인 내용은 추가 STUDY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 기준 등」에 대해 조금 더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9호 기준으로 STUDY 하겠습니다) ■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에 관한 기술상의 지침 1) 관련 법규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49호 2) 정 의 가연성 or 독성물질의 가스를 감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하고, 미리 설정해 놓은 농도에서 자동적으로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장치 (감지기와 경보기로 구성) 3) 설치기준 ① 감지대상 가스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 2022. 11. 4.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