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0]공정안전자료81 황산 취급시 플라스틱 재료 선정 기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하다 우연히 황산 취급시 플라스틱 재료 선정 기준에 대한 자료가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 황산 취급시 플라스틱 재질 선정 기준 황산은 부식성이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저농도 황산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을 권장하며 또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취급하는 황산의 농도 및 온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재료의 종류는 아래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황산이 고농도인 경우, 대부분 플라스틱 재료는 사용이 불가하며, PTFE / PFA만이 매우 우수한 저항성을 나타냅니다. 1) PP (Polypropylene) - 50% 이하의 황산 취급시 유용함 2) PE (Polyethylene) - 97% 황산까지 사용할 수 있음 - 단, 저온의 황산 취급시 사용할 수 있음 3) PV.. 2023. 8. 7. 실험실 등(소량 취급) 폭발위험장소 설정 제외 기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실험실 등 소량으로 인화성물질을 취급할 경우, 폭발위험장소 구분 적용을 제외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근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KOSHA Guide E-180-2020 KOSHA Guide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준을 정하고 있음 1) 부록 4 (실험실 등 소량의 인화성액체 취급장소에서의 폭발위험장소 설정) 1. 실험실 등에서의 인화성물질을 사용할 때의 유의사항 (1) 연구·개발용 장비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인화성물질을 사용·취급 또는 저장(이하 '사용 등'이라 한다)하고 있기 때문에 상시 잠재적인 화재·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일정 양(10 리터) 이상의 인화성물질을 사용 또는 보관하고 있는 실험실이나 파일롯 플랜트는 폭발위험장소(이하 '위험장소'라 한다) 설정을 고려한다.. 2023. 8. 3. 폭발위험장소 LFL 안전계수(k) 적용기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폭발위험장소 계산시, 환기등급 평가 및 폭발위험장소 범위 결정을 위해서는 누출특성을 계산해야 하며, 누출특성 계산시 폭발하한(LFL)에 대한 안전계수를 입력해야 합니다. KS에서는 0.5~1.0 사이로 결정하라고만 나와있으며, 명확한 기준을 정하고 있지 않는데요. 오늘은 LFL의 안전계수 적용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희석등급 평가 방법 상기 그림 C.1에 따라 희석등급을 평가하게 되며, X축에서는 누출특성 값 확인이 필요합니다. ■ 폭발위험장소 범위 추정 방법 상기 그림 D.1에 따라 폭발위험장소 범위를 추정하게 되며, X축에서는 누출특성 값 확인이 필요합니다. ■ 누출특성 계산 방법 누출특성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k는 'LFL에 따른 안전계수.. 2023. 7. 2. 보일러 필수 안전장치 4가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사업장에서 대부분이 온수, Steam 등의 사용을 위해 보일러를 운하고 있습니다. 보일러의 안전장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은 안전보건규칙에서 정하는 보일러 필수 안전장치 4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보일러 필수 안전장치 1) 압력방출장치 보일러의 과압을 방지하기 위해 PSV를 설치하고, 1회/년 이상 Popping Test 실시 (단, PSM P등급 사업장의 경우 1회/4년 Popping Test 가능) [관련근거] 안전보건규칙 제116조 (압력방출장치) ① 사업주는 보일러의 안전한 가동을 위하여 보일러 규격에 맞는 압력방출장치를 1개 또는 2개 이상 설치하고 최고사용압력(설계압력 또는 최고허용압력을 말한다. 이하 같다) 이하에서 작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 2023. 6. 21. 이전 1 2 3 4 5 6 7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