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관리감독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개 요
사업주는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된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감독하는 직위에 있는 사람을
관리감독자로 선임하고,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를 수행토록 해야 함
■ 관리감독자 업무
① 관리감독자가 지휘·감독하는 작업과 관련된 기계·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보건 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
②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보호구 및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사용에 관한 교육·지도
③ 해당작업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관한 보고 및 이에 대한 응급조치
④ 해당작업의 작업장 정리·정돈 및 통로 확보에 대한 확인·감독
⑤ 사업장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의 지도·조언에 대한 협조
ⓐ 안전관리자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 : 안전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 보건관리자 업무를 보건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 : 보건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 안전보건관리담당자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한 사업장 : 안전관리전문기관 또는 보건관리전문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 산업보건의
⑥ 위험성평가에 관한 아래의 업무
ⓐ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에 대한 참여
ⓑ 개선조치의 시행에 대한 참여
■ 관리감독자 교육
산안법 시행규칙 별표4에 따라 연간 16시간 이상 교육 실시
* 참고. 관련 법규
1) 산안법 제16조 (관리감독자)
2) 산안법 시행령 제15조 (관리감독자의 업무 등)
산안법에서 정하는 관리감독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 산업안전지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 등 안전보건교육 강사 기준 (3) | 2023.12.20 |
---|---|
안전보건관리규정 작성대상 및 세부내용 (0) | 2023.12.18 |
안전보건총괄책임자 업무 및 선임대상 (1) | 2023.12.14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업무 및 선임대상 (7) | 2023.12.12 |
2024년 산업안전지도사 시험일정 (4) | 2023.1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