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국소배기장치 설치계획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국소배기장치 설치계획 작성 예시
아래는 2020년 KOSHA에서 발행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예시집 내용 중 국소배기장치 설치계획을 캡처한 것입니다.
1) 설치계획
2) 관련도면
■ 국소배기장치 정의
국소배기장치란
발생원에서 방출된 유해물질이 작업장 내로 확산되기 전에, 발생원 근처에서 포집, 제거하는 환기장치를 말함
(아래는 KOSHA 국소배기장치 이해 OPS에 포함되어 있는 국소배기장치의 예시입니다)
■ 국소배기장치 설치계획 작성방법
1) 표시사항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제23조에는 아래와 같이 작성해야 할 사항을 정하고 있음
① 국소배기장치 설치계획 (별지 제19호 서식)
② 덕트, 배풍기, 공기정화장치 등의 설계 근거
③ 제어 및 인터록 장치
④ 후드, 덕트, 배풍기, 공기정화장치, 배기구 등의 배관 및 계장도 (P&ID)
⑤ 비상정지시 발생원 처리대책
2) 작성방법
① 공정 또는 작업장명
국소배기장치 설치 해당 공정명 기재
② 실내/외 구분
해당공정 또는 작업장을 실내, 실외로 구분하여 기재
③ 발생원
유해물질 발생설비 기재
→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등으로 구분하여 기재 (저장탱크, 건조시설 등)
④ 유해물질 종류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명 or 분진명 기재
→ 발생되는 대기오염물질명으로 기재 (분진, HCl, THC 등)
⑤ 후드형식
발생원에서 유해물질을 포집하는 후드형식 기재
형 식 | 설 명 | 종 류 |
포위식 | 유해물질의 발생원을 전부 or 부분적으로 포위하는 후드 | 포위형, 장갑부착상자형, 드래프트 챔버형 등 |
외부식 | 유해물질의 발생원을 포위하지 않고, 발생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후드 |
슬로트형, 루버형, 그리드형, 푸쉬-풀형 등 |
레시버식 | 유해물질이 발생원에서 상승기류, 관성기류 등 일정방향의 흐름을 가지고 발생할 때 설치하는 후드 |
그라인더카바형, 캐노피형 |
→ 후드형식은 상기 내용처럼 다양하지만,
안전보건규칙 별표13(관리대상유해물질 관련 국소배기장치 후드의 제어풍속)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아래 4가지로 구분하여 기재하고 있음
- 포위식 포위형
- 외부식 측방 흡인형
- 외부식 하방 흡인형
- 외부식 상방 흡인형
⑥ 후드의 제어풍속 (m/sec)
발생원에서 후드 입구로 흡입되는 풍속 기재
(제어풍속 : 오염물질을 후드 쪽으로 흡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속도)
- 포위식 : 후드 개구면에서의 최소 풍속
- 외부식 : 후드 개구면에서 가장 먼 거리의 작업위치에서의 풍속
→ 안전보건규칙에서 정하는 기준(제어풍속) 이상이 되도록 후드 제어풍속을 계산하여야 함
※ 참고. 관리대상유해물질 제어풍속 기준 (안전보건규칙 제429조, 별표13)
※ 참고. 허가대상유해물질 제어풍속 기준 (안전보건규칙 제454조)
※ 참고. 분진작업장소 제어풍속 기준 (안전보건규칙 제609조, 별표17)
1) 국소배기장치 제어풍속
단, 연삭기, 드럼샌더 등의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에 관련되어 분진작업을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은 아래 2) 내용 참조
2) 국소배기장치 중 연삭기, 드럼샌더 등의 회전체를 가지는 기계에 관련되어 분진작업을 하는 장소에 설치된 국소배기장치의 설치방법에 따른 제어풍속
⑦ 덕트 내 반송속도 (m/sec)
덕트 내에서 혼합공기가 반송되는 속도 기재
→ 유해물질이 덕트 내에서 퇴적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 속도
→ 산업환기설비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W-1-2019) 표3. 유해물질의 덕트 내 반송속도 이상이 되도록 설계하여야 함
※ 참고. 유해물질의 덕트 내 반송속도 (KOSHA Guide W-1-2019)
⑧ 배풍량 (m3/min)
후드별 or 송풍기별 배풍량 기재
⑨ 전동기
- 용량 (kW) : 국소배기장치 배풍기(Fan)의 용량 기재
- 방폭형식 : 국소배기장치 배풍기 모터의 방폭형식 + Casing & Impeller Non-spark Type 확인 기재
⑩ 배기 및 처리순서
유해물질 발생에서부터 처리, 배출까지의 모든 설비를 순서대로 기재
■ 추가 첨부자료
상기에서 언급한 국소배기장치 설치계획 내용 외 아래 자료를 추가로 첨부하여야 함
① 국소배기장치 배풍량 계산
② 국소배기장치 압력손실 계산 및 배풍기 용량 산정
③ 국소배기장치 관련 도면
- 국소배기장치와 관련된 P&ID 및 ISO 도면
- 배풍기(Fan) 제작도면 및 Data Sheet (Performance Curve 포함)
④ 기 타
- 제어 및 인터록 장치 관련 자료 (국소배기장치와 관련된 BPCS 및 인터록)
- 비상시 발생원 처리대책 (정전시, 오염물질 고농도 유입시 등)
- 유지관리계획 (정상운전, 점검항목 및 주기 등)
※ 참고. 국소배기장치 점검사항
- 후드, 덕트의 마모, 부식, 그 밖의 손상여부
- 덕트 접속부가 헐거워졌는지 여부
- 송풍기와 배풍기의 주유 및 청결 상태
- 전동기와 배풍기를 연결하는 벨트의 작동 상태
- 흡기 및 배기 능력 상태
국소배기장치 설치계획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한가지 Tip을 드리자면 해당 국소배기장치가 대기방지시설에 해당할 경우,
대기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인허가 서류를 참조하시면 관련 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라며, 문의사항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200]공정안전자료 > 240)건물설비배치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화기준, 내화도료 시공 등 (0) | 2022.11.03 |
---|---|
안전거리 (안전보건규칙 제271조) (0) | 2022.11.01 |
248. 세안세척시설 및 안전보호장구 설치계획 작성방법 (0) | 2022.10.28 |
247. 가스누출감지경보기 설치계획 작성방법 (0) | 2022.10.27 |
246. 화재탐지 경보설비 설치계획 작성방법 (0) | 2022.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