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63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세부항목별 이해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지난 시간에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대상 및 구성항목에 대해 알아본 적이 있습니다. 2023.01.17 - [[200]공정안전자료/210)유해위험물질자료]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작성대상 및 구성항목 오늘은 MSDS 구성 16개 세부항목별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안전보건공단 홈페이지 내 안전보건자료) 1.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 회사명 MSDS, 경고표지, 용기나 포장의 제품명이 모두 동일해야 함 (이를 확인하여 제품에 대한 올바른 MSDS 확인 가능) ○ 제품의 권고 용도와 사용상의 제한 제조자가 제시한 용도대로 화학물질을 사용해야 함, 그렇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 [예. 가습기 살균제 사건] 당초 카페트 등을 닦는 용도.. 2023. 9. 25. 유해화학물질 중 유독물질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정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종류는 유독물질, 사고대비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이 있습니다. 이 중 유독물질의 경우, 2023년 11월 2일 시행되는 고시 기준 1,118종이 해당됩니다. 그럼 1,118종은 어디서 확인 가능할까요? 오늘은 유독물질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화학물질관리법 제2조 (정의) 2. '유독물질'이란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것을 말한다. → 관련 법규에서 다루지 않고, 국립환경과학원고시에서 정하고 있음 ■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3-41호 (유독물질의 지정고시) 제1조 (정의) 이 고시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제20조 .. 2023. 9. 23.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 정보 작성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내용 중 '유해화학물질의 유해성 정보'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작성내용 유해화학물질의 대표 유해성 정보는 물질의 독성, 장외 영향범위, 누출시 환경영향 등을 고려하여 사고유형별 유해성이 큰 대표 2가지 물질(화재·폭발 2가지, 독성 2가지)에 대해 작성해야 하며 선정 사유를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 참고. 화재·폭발과 독성 누출 사고 유형에 따라 유해성 정보를 작성해야 하는 물질이 중복될 경우, 중복되는 물질을 포함하여 작성한다. 예. 화재·폭발 유해성이 큰 물질 2종 : 톨루엔, 암모니아 독성 유해성이 큰 물질 2종 : 암모니아, 염산 → 톨루엔, 암모니아, 염산 3종의 유해성 정보를 작성한다. ■ 작성양식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2-9호.. 2023. 9. 21. 유해화학물질 목록 및 취급량 작성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내용 중 '유해화학물질 목록 및 취급량'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작성양식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2-9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별지 제6호 서식 ■ 작성방법 1) 유해화학물질명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3-42호)'에 따른 고유의 화학물질 명칭 작성 가능한 한글로 작성 → MSDS 3번항의 Cas No.를 확인하고, 국립환경과학원 고시 제2023-42호 별표4를 확인하여 화학물질 명칭 작성 2) 화학물질별 식별번호 유해화학물질 함량기준 이상인 화학물질의 CAS No. 기입 → MSDS 3번항 확인 가능 3) 고유번호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 등에 관한 규정(국립환경과학원고시.. 2023. 9. 19. 이전 1 ··· 176 177 178 179 180 181 182 ··· 2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