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63

고압가스 정의, 분류, 경고표지 기재항목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산안법에서 정하는 고압가스의 분류 및 경고표지 기재항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정 의 20℃, 200kPa 이상의 압력 하에서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 또는 액화되거나 냉동액화된 가스를 말함 ■ 분 류 구 분 구 분 기 준 압축가스 가열하여 용기에 충전했을때, -50℃에서 완전히 가스상태인 가스 (임계온도 -50℃ 이하의 모든 가스를 포함) 액화가스 가열하여 용기에 충전했을때, -50℃ 초과 온도에서 부분적으로 액체인 가스 ① 고압액화가스 : 임계온도가 -50~65℃인 가스 ② 저압액화가스 : 임계온도가 65℃를 초과하는 가스 냉동액화가스 용기에 충전한 가스가 낮은온도 때문에 부분적으로 액체인 가스 용해가스 가압하여 용기에 충전한 가스가 액상 용매에 용해된 가스 ■.. 2023. 9. 9.
기체의 무게 계산 방법 (KORA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상기체상태방정식을 활용해서 기체의 무게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3.09.05 - [[200]공정안전자료/210)유해위험물질자료] - 기체의 무게 계산 방법 계산하는게 귀찮으신 분 또는 계산결과에 확신이 없으신 분들을 위해, KORA 프로그램을 통해 쉽게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 기체의 무게 계산 예시 지난 시간에 봤던 동일한 얘시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Ex) 암모니아 냉동설비 Gas Purger 내 Gas 무게 계산 ① Gas Purger Size : Φ318 × 800L ② 운전온도 : 40℃ ③ 운전압력 : 1.08MPa 1) 이상기체상태방정식을 이용한 계산 결과 약 0.5kg으로 확인됩니다. (계산 방법은 지난 시간.. 2023. 9. 7.
기체의 무게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등을 작성하다 보면 설비별 유해위험물질의 취급량을 계산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액체의 경우, 해당물질의 비중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 취급량(kg) = 설비의 용량(m3) × 1,000(L/m3) × 1(kg/L) × 비중 ] 기체의 경우에는 어떻게 계산하면 될까요? 오늘은 기체의 무게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기체의 무게 계산식 기체의 무게는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으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 V = n R T 여기서, P : 압력 (atm) V : 부피 (L) n : 몰수 (mol) R : 기체상수 (0.082atm·L/mol·K) T : 절대온도 (K) n = W ÷ M 여기서, .. 2023. 9. 5.
제131회 화공안전기술사 기출문제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2023년 8월 26일 시행된 제131회 기술사시험 중 화공안전기술사 기출문제 공유드립니다. 관련 자료의 출처는 큐넷입니다. ■ 1교시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담당자 및 산업안전지도사의 직무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시오. 2. 피부 자극성 또는 부식성 관리대상 유해물질을 취급하는 경우에 필요한 보호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인간의 의식 수준 5단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운송책임자의 감독·지원을 받아 운송하여야 하는 위험물의 종류와 안전교육대상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파열판(Rupture Disk)에 관한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1) 파열 압력 2) 성능허용오차 3) 파열 압력의 최대 허용치 4) 파열 압력의 최소 허용치 5) 운전비 6... 2023. 9.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