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0]공정안전자료/250)폭발위험장소 및 전기단선도16

254. 접지계획 작성 방법 공정안전보고서에는 설비 및 건축물과 관련된 접지계획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1년 한국전기설비규정이 개정되어 접지 관련 내용에도 많은 변화도 있었습니다. 접지계획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접지계획 작성 예시 아래는 2021년 KOSHA에서 발행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예시집 내용 중 접지계획 관련 내용입니다. 단, 접지명세와 관련된 내용은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이 2021년 개정 시행됨에 따라 예시집의 내용이 적절하지 않아 관련 도면만 예시로 보겠습니다. 1) 접지배치도 2) 피뢰설비 배치도 ■ 접지 설계 방식 변경 기존 종별접지(1종, 2종, 3종, 특3종접지)에서 국제표준에 부합하도록 접지설계 방식이 개정됨 1) 개정 전 (종별접지) 종 류 접지저항값 상한 접지선 최소 굵기 1종접지 .. 2022. 11. 13.
253. 전기단선도 작성 방법 공정안전보고서에는 PSM 공정에 사용되는 동력기계류의 전력공급계통 확인을 위한 전기단선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기단선도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전기단선도 작성 예시 아래는 2021년 KOSHA에서 발행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예시집 내용 중 전기단선도 관련 내용입니다. 1) 전기단선도 2) 비상전원 설치계획 등 ■ 공정안전보고서 표시사항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제24조 제2항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사항을 정하고 있음 수전설비의 책임분계점부터 저압 변압기의 2차측(부하설비 1차측)까지가 대상이며, 아래 법규의 각호 내용을 포함해야 함 제24조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및 전기단선도 등) ② 전기단선도는 수전설비의 책임분계점부터 저압 변압기의 2차측(부하설비 1차측)까지를 말하며, 이 단선도.. 2022. 11. 12.
252.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 폭발위험장소 설정이 완료된 경우, 해당 폭발위험장소 내 점화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전기/계장기계기구는 적합한 방폭성능을 가진 것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방폭특성(그룹, 온도등급)에 맞게 적절히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서류가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입니다. 관련 내용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 작성 예시 아래는 2021년 KOSHA에서 발행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예시집 내용 중 방폭 전기/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 관련 내용입니다. ■ 공정안전보고서 표시사항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제24조 제1항 제2~3호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사항을 정하고 있음 방폭 전/계장기계기구 선정기준 : 각 공장/공정별 구분하여, 품목별로 기재 (별지 제20호 서식) 방폭기기 .. 2022. 11. 11.
251. 폭발위험장소 계산 및 구분도 작성 방법 사업장에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시 가장 어려워하는 내용 중 하나가 바로 폭발위험장소 계산 및 구분도 작성입니다.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도 아니고, 이해하려면 많은 STUDY를 해야 합니다. 폭발위험장소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폭발위험장소 계산 및 구분도 작성 예시 아래는 2021년 KOSHA에서 발행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예시집 내용 중 폭발위험장소 계산 관련 내용입니다. 1) 폭발위험장소 계산 예시 2)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작성 예시 ■ 공정안전보고서 표시사항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제24조 제1항 제1호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사항을 정하고 있음 폭발위험장소 계산 : 한국산업표준(KS)에 따라 작성 폭발위험장소 구분도 : 한국산업표준(KS)에 따라 작성하며, 각 위험원별 표시 제2.. 2022. 11.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