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0]공정안전자료/250)폭발위험장소 및 전기단선도16

[폭발위험장소] 환기이용도 국소배기장치 해석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KS C IEC 60079-10-1:2015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산정시 환기는 강제환기와 자연환기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건축물 내 강제환기가 비현실적인 경우,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환기이용도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하는 것이 맞을까요? ■ KS C IEC 60079-10-1:2015 기준 부속서C (환기지침) 「C.4.7 국소배기장치」에서는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C.4.7 국소배기장치 국소배기는 가능한 모든 장소에서 권고된다. (그림 C.5 참조) 국소배기장치는 누출원 인근의 희석등급을 개선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소배기는 국소배기 시스템의 범위 밖의 가스 또는 증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비가 시설되는.. 2023. 5. 23.
암모니아(NH3) 폭발위험장소 설정 대상 여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인화성액체의 증기나 인화성가스 등을 취급하는 경우, 폭발위험장소를 설정하여 관리하여야 합니다. 인화성가스 중 암모니아(NH3)의 경우, 폭발위험장소 구분 대상에 해당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얘기가 많은데요. 오늘은 암모니아 폭발위험장소 설정 대상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폭발위험장소 구분 대상 안전보건규칙 제230조 (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장소에 대하여 폭발위험장소의 구분도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가스폭발 위험장소 또는 분진폭발 위험장소로 설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1. 인화성액체의 증기나 인화성가스 등을 제조·취급 또는 사용하는 장소 2. 인화성고체를 제조·사용하는 장소 .. 2023. 4. 26.
폭발위험장소 계산시 비열비 확인 방법은? 인화성가스의 경우, 폭발위험장소 계산시 비열비(단열 팽창 폴리트로피 지수)가 필요합니다. 이 값은 인화성가스의 종류 및 취급 온도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지게 되므로, 정확한 값의 입력이 중요합니다. 폭발하한, 증기압, 발화점처럼 MSDS에 기재된 것이 아니기에, 어떻게 확인하는지 문의가 많은데요. 폭발위험장소 계산시 비열비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프로그램 설치 비열비 확인을 위해서는 KOSHA에서 개발한 공정안전보고서 작성 지원 프로그램인 EPSM 설치가 필요합니다. ■ 비열비 확인 방법 ① EPSM을 실행합니다. ② 폭발위험장소 계산을 클릭합니다. ③ 확인을 클릭합니다. ④ 신규를 클릭합니다. ⑤ NO를 클릭한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⑥ 물질명 우측에 있는 폴더모양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2022. 11. 15.
방폭 전기기계기구 선정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안전보건규칙 제311조에 따라 폭발위험장소 내 전기기계기구는 방폭형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방폭 전기기계기구 선정시 무엇을 확인해야 알 수 있을까요? 방폭 전기기계기구 선정시 확인해야 할 내용(선정기준 및 선정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련 법규 ① 안전보건규칙 제311조(폭발위험장소에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선정 등)에 따라 폭발위험장소에 전기기계기구는 방폭형으로 설치해야 함 ② KS C IEC 60079-14(방폭기기 - 제14부:전기기기 설계, 선정, 설치)를 적용해야 함 제311조 (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의 선정 등) ① 사업주는 제230조 제1항에 따른 가스 폭발위험장소 또는 분진 폭발위험장소에서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 2022.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