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물질관리법/관련법규15

사고대비물질별 개인보호구 착용 기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지난 시간에 사고대비물질 97종 확인방법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2023.10.19 - [화학물질관리법/관련법규] - 유해화학물질 중 사고대비물질 확인방법 오늘은 사고대비물질별 착용해야 하는 개인보호구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련 법규 유해화학물질 취급자의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관한 규정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2-7호) 제4조 (사고대비물질 취급자의 보호장구 착용) ① 사고대비물질 취급자가 착용하여야 하는 호흡보호구, 보호복 및 안전장갑은 별표 1과 같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업장의 작업상황을 구분하여 호흡보호구를 착용하는 경우 착용하여야 하는 호흡보호구는 별표 2와 같다. ③ 보호장구 성능기준은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를 충족하여야 한다. ■ 사고대비물질별 .. 2023. 10. 21.
유해화학물질 중 사고대비물질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정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종류는 유독물질, 사고대비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이 있습니다. 이 중 사고대비물질은 97종이 해당됩니다. 오늘은 사고대비물질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사고대비물질 정의 화학물질관리법 제2조 (정의) 6. '사고대비물질'이란 화학물질 중에서 급성독성·폭발성 등이 강하여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화학사고 대비가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제39조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지정·고시한 화학물질을 말한다. ■ 사고대비물질 확인방법 1) 화학물질관리법 제39조 (사고대비물질의 지정) 환경부장관은 화학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하면 피해가 클 것.. 2023. 10. 19.
유해화학물질 중 유독물질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정하는 유해화학물질의 종류는 유독물질, 사고대비물질, 허가물질, 제한물질, 금지물질이 있습니다. 이 중 유독물질의 경우, 2023년 11월 2일 시행되는 고시 기준 1,118종이 해당됩니다. 그럼 1,118종은 어디서 확인 가능할까요? 오늘은 유독물질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화학물질관리법 제2조 (정의) 2. '유독물질'이란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것을 말한다. → 관련 법규에서 다루지 않고, 국립환경과학원고시에서 정하고 있음 ■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2023-41호 (유독물질의 지정고시) 제1조 (정의) 이 고시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제20조 .. 2023.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