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물질관리법/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32 산업단지 구분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시 '사업장 일반정보'에 산업단지 구분을 기재해야 하는데, 오늘은 사업장이 위치한 산업단지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산업단지 구분 확인방법 산업단지는 국가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외국인투자지역, 농공단지가 있으며, 이는 한국산업단지공단에서 운영하는 산업입지정보시스템(https://www.industryland.or.kr/)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1) 산업입지정보시스템에 접속하여 우측 중간정도 위치에 보이는 '공장검색'을 클릭합니다. 2) 검색내용에 확인하고자 하는 공장명을 입력(예. 삼성전자)하고 검색을 클릭합니다. 3) 검색결과 '단지명'을 확인합니다. 산업단지 구분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3. 9. 1. 최대보유량 산정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대상 판단 및 보고서 작성시 최대보유량이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최대보유량과 상위/하위 규정수량을 비교하여 1군/2군/면제여부 판단 등)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에서 최대보유량은 상당히 중요한 용도로 쓰이는데요. 오늘은 최대보유량 산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련 법규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2-9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최대보유량 산정 방법 등) 규칙 별표3의2 비고3에 따른 최대로 체류할 수 있는 양(이하 '최대보유량'이라 한다)은 별표 1에 따른 산정방법에 따르고 그 내용을 별지 제1호 서식에 작성한다. → 동 고시 별표1의 기준에 따르며, 관련 내용은 아래 내용(최대보유량 산정 방법) 참조 ■ 최대보유량 산.. 2023. 8. 30. 사고시나리오 규정 수량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를 작성하다 보면 사고시나리오를 분석하게 됩니다. 유해화학물질의 함량 기준 이상이 되는 것은 모두 사고시나리오에 해당되나, 성상별 수량에 따라 시나리오를 구현하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 오늘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사고시나리오를 구현하는 수량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관련 법규 1)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2-9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제19조 (사고시나리오 선정) ② 사고시나리오 선정 대상설비는 별표2에 따른 사고시나리오 규정량 이상인 설비로 한다. 2) 화학물질안전원고시 제2022-9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별표2 아래 내용(사고시나리오 규정 수량) 참조 ■ 사고시나리오 규정 수.. 2023. 8. 24.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대상, 작성수준 판단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오늘은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제출대상, 작성수준 판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개 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고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대응체계를 구축·운영하도록 하는 제도 (2021.04.01 시행) ■ 관련법규 1) 화학물질관리법 제23조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 작성·제출) ①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운영하려는 자는 사전에 화학사고 발생으로 사업장 주변 지역의 사람이나 환경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이하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라 한다)를 작성하여 환경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을 설치·운영하려는 자는 그러하지 아니.. 2023. 8. 22. 이전 1 ···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