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Q&A32

LPG PSM R값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사업장 중 연소용 Burner에 도시가스(NG) 외 LPG를 사용하는 사업장도 많이 있습니다. 이 경우, LPG에 대한 PSM 규정량 해당여부(R값 계산)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LPG PSM R값 계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R값 계산방법 산안법 시행령 별표13에 따른 유해위험물질 규정량 해당여부(R값) 계산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LPG 규정량 확인 산안법 시행령 별표13에는 유해위험물질별 규정량을 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 LPG는 인화성가스에 해당하므로, 규정량(Tn)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제조·취급 : 5,000kg/일 ② 저장 : 200,000kg/일 (참고. 도시가스(NG)의 경우, 산안법 시행령 별표13 비고 내용을 만족할 시 제조·취.. 2023. 2. 21.
공정용 난방기기 폭발위험장소 대상여부 (안전보건공단 질의회시)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겨울철이 되면 근무자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공장 내 난방을 위한 난방기기를 사용하시는 곳이 있습니다. 도시가스(NG), LPG 등을 연료로 하는 난방기기 사용시 폭발위험장소를 구분해야 할까요? 오늘은 '공정용 난방기기 폭발위험장소 설정 대상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공정용 난방기기 설치 사례 냉난방 시설이 별도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사업장의 경우, 공장 내 난방을 위해 저압의 도시가스(NG) 또는 LPG를 연료로 하는 난방기기를 사용하고 있음 (연료용 가스 사용압력 : 약 5kPa 이내) ■ 폭발위험장소 설정 법적 기준 안전보건규칙 제230조에서 폭발위험장소 관련 내용을 정하고 있음 제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장소에 .. 2023. 1. 4.
방폭 전기기계기구 안전인증 확인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폭발위험장소 내 설치되는 전기기계기구는 국내 인증을 받은 방폭형 전기기계기구로 설치해야 합니다. 방폭 인증 관련 법적 기준 및 방폭 전기기계기구 안전인증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KCs 방폭 인증 ① 산안법 제84조(안전인증) 및 산안법 시행령 제74조(안전인증 대상 기계 등)에 의거, 유해위험기계기구, 방호장치 및 보호구가 설계 및 제작 단계에서 근원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하고,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인증을 받아야 함 ② 안전인증 대상 중 방호장치에 방폭구조 전기기계기구 및 부품이 포함되어 있음 제84조(안전인증) ① 유해·위험기계 등 중 근로자의 안전 및 보건에 위해를 미칠 수 있다고 인정되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하 '안전인증대상기계.. 2022. 11. 27.
Fan, Blower, Compressor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사업장에서 액체상태의 유체를 이송할 경우 Pump를 사용합니다. 대상 유체가 액체가 아닌 기체(공기)라면 Fan, Blower, Compressor를 이용해서 이송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Fan, Blower, Compressor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아래에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 Fan, Blower, Compressor 차이점 1) Fan (팬) ① 저압의 공기를 이송하는데 사용됨 (1,000mmAq 미만) ② 흡입압과 토출압의 비(Specific Ratio) 1.1 미만 ③ 덕트(Duct)를 통해 기체 이송 ④ 종류 : Sirocco Fan, Air Foil Fan, Turbo Fan, Axial Fan 2) Blower (블로워) ① 중압의 공기를 이송하는데 사용됨 (.. 2022. 11.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