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300]공정위험성평가25

공정위험성평가 (세부평가기준 및 착안사항)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PSM 이행상태점검 및 평가시 공정위험성평가(작업위험성평가, 정량적위험성평가 포함)에 대한 확인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공정위험성평가는 어떤 항목으로 확인할까요? 그리고, 평가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공정위험성평가 관련 세부평가기준 및 착안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평가항목 공정위험성평가 평가항목은 고용노동부고시 제2020-55호 별표4에서 정하고 있음 총 13개 항목으로 평가됨 평가항목 1 위험성평가 절차가 산업안전보건법령 및 동 고시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작성되어 있는가? 2 공정 또는 시설 변경시 변경부분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있는가? 3 정기적(4년 주기)으로 공정위험성평가를 재실시하고 있는가? 4 밀폐공간작업, 화기작업, 입·출하작업 등 유해위험작업에 .. 2022. 12. 15.
독성물질 끝점 ERPG-2 정의 및 확인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시 독성물질의 끝점은 ERPG-2를 적용한다고 하였는데요. ERPG-2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독성물질별 ERPG-2 값은 어디서 확인 가능한지? 궁금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독성물질 끝점인 ERPG-2의 정의 및 확인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RPG 정의 * ERPG :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 ☞ ERPG는 미국 산업위생학회(AIHA)에서 발표하는 기준이며, 관심의 우선순위, 취급·저장 평가, 누출시 확산지역의 파악 및 지역사회의 비상대응계획을 수립하는데 사용되는 지침을 말함 ☞ 공기 중의 독성물질에 의해 1시간 동안 노출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신체적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최대 농도 2. ERP.. 2022. 12. 13.
ALOHA Software 설치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현재 정량적위험성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Software는 ALOHA, e-CA, KORA, PHAST 등이 있습니다. 그 중 PHAST는 라이센스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유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그 외 Software를 많이 활용하는 편이며, 일반적으로 유해화학물질은 KORA, 유해위험물질은 ALOHA, e-CA를 많이 사용합니다. 오늘은 4개 Software 중 ALOHA 설치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EPA CAMEO 접속 미국 EPA CAMEO에 접속하시면 ALOHA Software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접속 링크는 아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epa.gov/cameo/aloha-software 현재 ALOHA Software 최신 버전.. 2022. 12. 12.
330. 정량적위험성평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공정안전보고서에 포함되는 위험성평가는 정성적위험성평가와 정량적위험성평가가 나뉘며, 정량적위험성평가는 정성적위험성평가 결과 위험도가 높은구간에 실시한다고 하였습니다. 정량적위험성평가는 어떤 기준으로 작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작성 기준 정량적위험성평가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8조에 따라 작성해야 함 제28조(사고빈도 및 피해최소화 대책 등) ① 사업주는 단위공장별로 인화성가스·액체에 따른 화재·폭발 및 독성물질 누출사고에 대하여 각각 1건의 최악의 사고시나리오와 각각 1건 이상의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를 선정하여 정량적위험성평가(피해예측)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별지 제19호의2 서식의 시나리오 및 피해예측 결과에 작성하고 사업장 배치도 등에 표시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시나리오.. 2022.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