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Q&A32

밀폐공간 작업시 반드시 CO2 측정해야 하는지?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밀폐공간의 경우, 안전보건규칙 제619조의2에 의거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적정공기가 유지되는지 평가해야 하며, 적정공기의 기준은 안전보건규칙 제618조 3호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① 사업주는 밀폐공간에서 근로자에게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경우 작업을 시작(작업을 일시 중단하였다가 다시 시작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기 전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로 하여금 해당 밀폐공간의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정( 「전파법」 제2조 제1항 제5호, 제5호의2에 따른 무선설비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 측정을 포함한다. 이하 제629조, 제638조 및 제641조에서 같다)하여 적정공기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도록 해야 한다. 이 장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2023. 12. 2.
회분식 배합공정 PSM 취급량 R값 계산 방법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지난번에 Daily Tank를 저장량으로 보아야 하는지? 사용량으로 보아야 하는지? 에 대한 국민신문고 질의를 공유한 적이 있습니다. 확인된 답은 'Daily Tank는 사용량으로 보아야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관련 질의회시는 아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03.02 - [Q&A] - Daily Tank, 폐액 Tank에 대한 PSM R값 산정방법은? 오늘은 상기와 유사한 질의 내용 한가지를 더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회분식 반응기 또는 배합공정에서 사용되는 Daily Tank의 경우, 저장량으로 보아야 하는지? 사용량으로 보아야 하는지?'입니다. ■ Question 질의 요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MEK를 회분식으로 배합하는 공정에서, ① Storage Tank는 .. 2023. 8. 9.
PSM 사업장 압력용기 검사주기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산안법에 따른 압력용기의 안전검사의 주기는 2년입니다. 단, PSM 사업장의 경우, 검사주기가 1회/4년로 정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안전검사 주기 1) 관련근거 산안법 시행규칙 제126조 2) 내 용 제126조(안전검사의 주기와 합격표시 및 표시방법) ① 법 제93조제3항에 따른 안전검사대상 기계 등의 안전검사 주기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크레인(이동식 크레인은 제외한다), 리프트(이삿짐운반용 리프트는 제외한다) 및 곤돌라 : 사업장에 설치가 끝난 날부터 3년 이내에 최초 안전검사를 실시하되, 그 이후부터 2년마다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것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6개월마다) 2. 이동식 크레인, 이삿짐운반용 리프트 및 고소작업대 : 「.. 2023. 8. 1.
LPG 취급시설 안전밸브 Popping Test 주기 질의회시 결과 안녕하세요? 수박공입니다. 지난번에 LPG 취급시설 안전밸브 Popping Test 주기 관련 내용에 대해 알아본 적이 있습니다. 2023.06.14 - [Q&A] - LPG 취급시설 안전밸브 Popping Test 주기 이와 관련된 국민신문고 질의 회시 결과를 공유드립니다. ■ 질의 요지 산안법(안전보건규칙 제261조)과 액화석유가스법(시행규칙 별표5)에서 정하는 LPG 취급시설 안전밸브 Popping Test 주기가 상이하므로, 어떤 기준을 적용해야 하는지? 1) 산안법 : 1회/년 (단, 압력용기는 재검사주기에 따름) 2) 액화석유가스법 - LPG Liquid 배관 PSV : 제외 - Gas Compressor 후단 PSV : 1회/년 - 그 외 기화기 후단 PSV : 1회/2년 - 시설 자체에 설.. 2023. 7. 30.
반응형